
우연히 본 자룐데, 기준연도가 오래되긴했지만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우리나라 아파트의 교체 수명 주기가 월등히 짧긴하네요. 좁은 지역에 밀집해서 살다보니 대도시 중심으로 재건축 지역을 쉽게 찾을 수 있죠. 아파트는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법적 기준 내용연수(=내구연수)는 40년(하한 30년, 상한 50년)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아파트 수명은 하한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군요. 아파트 재건축연한은 준공된 지 30년이 경과되면 재건축사업에 대한 추진이 가능하고, 노후불량건축물로 판정 받아야 가능한데, 26.95년이라는 수치가 쉽게 이해되진 않네요. 불량건축물은 준공일 기준 40년까지 사용하기 위해 보수, 보강하는데 드는 비용이 철거 후 새로운 건축물을 건설하는데 드는 비용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는 건축물로 ..
뉴스
2020. 12. 2. 18:11
250x25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데이터라벨링
- Megxit
- 재택알바
- 데이터라벨러 중급
- 세계 아파트 평균 수명
- 선진국 아파트 수명
- 노후불량건축물
- 공무원
- 국가별 아파트 교체 수명
- 아파트 평균 수명
- 북한
- 수익인증
- 올해의 영단어
- 월북
- 신개념 스마트 모빌리티
- 재택부업
- TikToker
- AI
- 모바일 게임
- smart mobility
- 22년 라이벌
- 아파트 재건축연한
- 부풀어 오르는 스쿠터
- 리뷰
- poimo
- 포이모
- 풍선 스쿠터
- 추천인코드
- 맥도날드 vs 버거킹
- 크라우드웍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