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728x90
내가 읽기 싫어서 대충 본 것도 있겠지만 공공임대주택 보증금이 억대면 어떻게 들어가는거지...?
그리고 공공임대주택 유형만 7가지고 뭐가 그렇게 복잡한지...
이런거 보면 일부러 복잡하게 만들어서 국민들 헷갈리게 하려는 거 같어...
공공임대주택이면 입지나 토지에 따라 가격이 결정될게 아니라 최저임금이랑 연동해서 전국 어디든 가격이 같아야 의미가 있지않을까 싶다.
2020년 올해 최저임금이 시간당 8,590원이니까 1인 원룸 기준 월세는 8,590 x 20일 = 171,800원하고 보증금은 2년치 월세 4,123,200원해서 분할납부 가능하게 하면 부담도 적고, 여러므로 좋을 듯 싶은뎁...관리비는 지역별 상이하다쳐도 월세 더 받고 싶으면 최저임금 올리면 되니까ㅋㅋㅋ
부동산 정책이니 전세대란이라 공공임대주택을 늘리겠다드니하는 뉴스 주워듣고 살짝 끄적여 봄
728x90
250x25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리뷰
- 월북
- smart mobility
- 데이터라벨링
- 국가별 아파트 교체 수명
- Megxit
- 재택부업
- 크라우드웍스
- poimo
- 22년 라이벌
- 아파트 재건축연한
- 올해의 영단어
- 신개념 스마트 모빌리티
- 공무원
- 부풀어 오르는 스쿠터
- TikToker
- 아파트 평균 수명
- 모바일 게임
- 세계 아파트 평균 수명
- 데이터라벨러 중급
- 풍선 스쿠터
- 북한
- 수익인증
- 추천인코드
- 선진국 아파트 수명
- 포이모
- 맥도날드 vs 버거킹
- AI
- 노후불량건축물
- 재택알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